[PMP 이론 정리 - 7장] 05 PMBOK 가이드 프로세스 요약

반응형
반응형

1. 원가 관리 계획(7.1)

(1) 개요

목적: 예산 기획/개발/관리/통제를 위한 정책/절차/방법을 문서화하여 프로젝트 원가 관리를 위한 지침과 방향을 제시한다.

편익: 범위 관리 계획 및 일정 관리 계획과의 일관성을 맞추어야 한다.



(2) 투입물

프로젝트 헌장: 기존에 승인 받은 재무 자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한다.

프로젝트 관리 계획: 일정 관리 계획 및 위험 관리 계획에서 원가 추정 및 관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프로세스 및 통제 대책들을 참조한다.

기업 환경 요인: 조직 문화 및 구조, 시장 상황, 환율(해외 조달이 필요한 경우), 자원의 단위 당 원가와 관련한 출간된 상용 정보,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PMIS), 각국 및 지역별 생산성 등을 참조한다.

조직 프로세스 자산: 재무 통제 절차, 과거 프로젝트들에서 수집한 역사적 정보 및 교훈점 리파지토리, 재무적 데이터베이스, 추정 및 예산 수립과 관련한 정책/절차/지침 등을 참조한다.



(3) 도구 및 기법

전문가 판단: 과거에 수행된 유사한 프로젝트, 프로젝트가 속한 산업/지식 분야/응용 분야, 원가 추정 및 예산 수립, 획득 가치 관리(EVM) 등에 관한 지식/경험 보유자들의 도움을 받는다.

데이터 분석: 자금 조달 방법(자체 모금, 주식 발행, 차입 등) 및 제작/구입/대여/리스 분석 등에 대한 대안 분석을 수행한다.

회의: PM, 후원자, 팀원 등이 참여하는 프로젝트 팀의 회의도 활용한다.



(4) 산출물

원가 관리 계획: 정밀성 수준, 측정 단위, WBS와 일정의 연결 방법, 통제 임계치, 성과 측정 규칙, 보고 방식 및 주기, 전략적 자금 조달 방안, 환율 변동에 대한 회계 처리, 원가 기록 절차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프로젝트 상황 및 필요에 맞게 계획의 상세화 및 공식화 정도를 결정한다.



2. 원가 추정(7.2)

(1) 개요

목적: 프로젝트 작업을 완료하는 소요되는 자원의 원가를 추정한다.

편익: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결정하고 추정의 근거와 적용된 가정의 합리성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2) 투입물

프로젝트 관리 계획: 원가 관리 계획, 품질 관리 계획, 범위 기준선을 고려한다.

프로젝트 문서: 교훈점 기록부, 프로젝트 일정, 자원 요구사항, 위험 기록부 등을 참조한다.

기업 환경 요인: 시장 상황, 자원의 단위 당 원가와 관련한 출간된 상용 정보, 환율(해외 조달이 필요한 경우) 등을 참조한다.

조직 프로세스 자산: 원가 추정 정책 및 템플릿, 과거 프로젝트들에서 수집한 역사적 정보 및 교훈점 리파지토리 등을 참조한다.



(3) 도구 및 기법

전문가 판단: 과거에 수행된 유사한 프로젝트, 프로젝트가 속한 산업/지식 분야/응용 분야, 원가 추정 등에 관한 지식/경험 보유자들의 도움을 받는다.

유사 추정: 과거에 수행한 유사한 프로젝트나 활동으로부터 얻은 역사적 정보를 활용하여 프로젝트 및 활동 기간을 추정한다.

모수 추정: 역사적 데이터와 모수(또는 결정 변수)에 근거하여 활동 원가를 추정한다.

삼점 추정: 최빈치, 낙관치, 비관치를 사용하여 원가의 범위를 추정한다. 삼각 분포 또는 베타 분포를 가정한다.

상향식 추정: WBS의 하위 구성 요소들에 대한 추정치들을 합산하여 프로젝트 예산을 추정한다.

데이터 분석: 대체 분석, 유보분 분석, 품질 원가 분석 등을 참조한다.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 스프레드시트,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통계적 분석 툴, 도식적 추세 분석 및 예측 도구 등을 활용한다.

의사 결정: 투표를 포함하여 여러 참가자들의 의사 결정이 필요할 수 있다.



(4) 산출물

원가 추정치: 원가의 정량적 추정치 및 예상 범위 등을 명시한다.

추정 근거: 추정의 근거, 가정, 제약 조건, 신뢰 수준, 관련 위험 등을 명시한다.

프로젝트 문서 갱신: 가정 일지, 교훈점 기록부, 위험 기록부 등을 갱신해야 할 수 있다.





3. 예산 결정(7.3)

(1) 개요

목적: 원가 추정치를 합산하여 프로젝트 성과의 감시/통제를 위한 기준인 승인 받은 원가 기준선을 확립한다.

편익: 적절한 예비분과 자금 조달 한도 등에 대해서도 결정한다.



(2) 투입물

프로젝트 관리 계획: 원가 관리 계획, 자원 관리 계획, 범위 기준선 등을 고려한다.

프로젝트 문서: 추정의 근거, 원가 추정치, 프로젝트 일정, 위험 기록부 등을 고려한다.

비즈니스 문서: 비즈니스 사례, 편익 관리 계획 등을 참고한다.

협약: 외부 조달 과정에서 외부 공급자와 합의한 각종 제품/서비스/결과의 구입 가격을 참조한다.

기업 환경 요인: 환율(해외 조달이 필요한 경우) 등을 참고한다.

조직 프로세스 자산: 예산 수립과 관련한 정책/절차/지침, 과거 프로젝트들에서 수집한 역사적 정보 및 교훈점 리파지토리, 원가 예산 수립 도구, 보고 방법 등을 참고한다.



(3) 도구 및 기법

전문가 판단: 과거에 수행된 유사한 프로젝트, 프로젝트가 속한 산업/지식 분야/응용 분야, 재무 원칙, 자금 조달 요건 및 원천 등에 관한 지식/경험 보유자들의 도움을 받는다.

원가 합산: 원가 추정치를 합산하여 예산을 결정한다.

데이터 분석: 예비분 분석 등을 활용한다.

역사적 관계: 관련 데이터 간 역사적 관계를 고려한다.

자금 조달 한도 조정: 작업 일정을 조정하여 비용의 지출 일정과 자금 조달 한도 사이에 차이를 계산하고 조정할 수 있다.

자금 조달: 장기적 인프라 및 공공 프로젝트의 경우 외부 자금 조달 방안을 고려해야 할 수 있다.



(4) 산출물

원가 기준선: 프로젝트 일정과 예산을 연계하여 프로젝트 성과 평가의 기준을 확립한다.

프로젝트 자금 조달 요구사항: 자금 조달 주기, 한도, 조달 비용 등을 포함한다.

프로젝트 문서 갱신: 원가 추정치, 프로젝트 일정, 위험 기록부 등을 갱신해야 할 수 있다.



4. 원가 통제(7.4)

(1) 개요

목적: 프로젝트 현황을 감시하고 프로젝트 전체 기간 동안 원가 기준선을 유지 관리한다.

편익: 원가 추정치를 갱신하고 원가 차이를 목표 범위 내로 유지한다.



(2) 투입물

프로젝트 관리 계획: 원가 관리 계획, 원가 기준선 등을 고려한다.

프로젝트 문서: 교훈점 기록부 등을 참조한다.

프로젝트 자금 조달 요구사항: 자금 조달 주기, 한도, 조달 비용 등을 확인한다.

작업 성과 데이터: 계획된 원가, 실제로 발생한 원가, 청구 및 지불된 비용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조직 프로세스 자산: 원가 통제와 관련한 정책/절차/지침, 원가 통제 도구, 감시 및 보고 방법 등을 참고한다.



(3) 도구 및 기법

전문가 판단: 차이 분석, 획득 가치 관리(EVM), 예측, 재무 분석 등에 관한 지식/경험 보유자들의 도움을 받는다.

데이터 분석: 획득 가치 분석(EVA), 차이 분석, 추세 분석, 예비분 분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TCPI 분석: 남아 있는 자원으로 향후에 달성해야 할 원가 성과를 분석한다.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 PV/EV/AC의 감시, 도식적 표현, 최종 결과 예측 등에 활용한다.



(4) 산출물

작업 성과 정보: CV, CPI, EAC, VAC, TCPI 등에 대한 각종 분석 정보를 포함한다.

원가 예측치: 원가 추정치에 대한 갱신 및 각종 예상 정보를 포함한다.

변경 요청: 원가 기준선, 일정 기준선, 프로젝트 관리 계획의 기타 구성 요소에 대한 변경 요청이 필요할 수 있다.

프로젝트 관리 계획 갱신: 원가 관리 계획, 원가 기준선 등을 갱신해야 할 수 있다.

프로젝트 문서 갱신: 가정 일지, 추정 근거, 원가 추정치, 교훈점 기록부, 위험 기록부 등을 갱신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