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P 이론 정리 - 7장] 01 프로젝트 원가 관리 개요

반응형
반응형

1. 프로젝트 원가 관리

(1) 의의

프로젝트 원가(Project Cost): 특정 프로젝트의 범위를 완수하기 위해 지출한 다양한 유형의 직접비와 간접비를 포함한다.

② 일반적인 회계 원칙에 따르면 희생한 자원의 경제적 가치가 미래에 편익을 가져다 주면 원가(cost)로, 그렇지 않으면 비용(expense)으로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③ 따라서 회계학적으로 원가와 비용은 구분하는 것이 맞지만, 일상적인 프로젝트 환경에서는 두 용어를 혼용하는 경우가 많다.

④ 한편, 특정 자금 지출을 프로젝트 원가에 포함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해당 지출이 프로젝트 목적과의 관련성이다.

⑤ 예를 들어, 은행으로부터 10억 원의 대출을 받아 4억 원은 프로젝트 목적으로 사용하였고 나머지 6억 원은 운영 자금으로 사용했는데 대출 이자가 100만 원이 발생했다면 4억 원에 대한 40만 원만 프로젝트 원가로 처리해야 한다.

제품 수명 주기 원가(LCC: Life Cycle Cost): 프로젝트 원가와 더불어 완성된 프로젝트 인도물을 사용, 운영, 유지보수, 폐기하는 데 소용되는 모든 비용을 포함하는 원가로서 총 소유 원가(TCO: Total Cost of Ownership)라고도 한다.

⑦ 프로젝트 비용 지출과 예산의 적정성을 평가할 때는 프로젝트 원가와 제품 수명 주기 원가 간의 상충 관계(trade-off)를 고려해야 한다.

⑧ 예를 들어, 제품 설계 과정에서 테스트를 많이 하면 프로젝트 원가는 증가하지만, 프로젝트 이후에 발생하는 제품 운영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절약되기 때문에 프로젝트 수명 주기 원가는 감소한다.

⑨ 프로젝트 자금은 낭비되거나 프로젝트 목적과 무관하게 지출되지 않도록 지출을 철저히 감시해야 한다.

⑩ 하지만 비용 지출의 필요성 및 낭비 여부에 대한 판단은 상당 부분 조직 문화와 이해관계자들의 가치관과도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당 부분 주관성이 있다.

⑪ 예를 들어, 건물 건축 프로젝트에서 어떤 발주자는 장애인 편의 시설이나 조경을 위한 지출을 당연한 비용으로 여기고 충분히 예산을 배정해 주는 데 비해 다른 발주자는 이를 아깝게 여기고 최대한 절감하려고 할 수 있다.



(2) 프로세스 구성

프로젝트 원가 관리: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자금을 추산하고 시기 적절하게 조달하며 프로젝트가 승인 받은 예산 내에서 완수되게 하는 것이다.

② 프로젝트가 원활하게 진행되려면 프로젝트 자금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프로젝트 원가와 예산을 최대한 정확하게 추정해야 한다.

③ 한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데 투입되는 전체 자금도 중요하지만, 그 자금이 필요한 시기에 시기적절하게 투입되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④ 왜냐 하면, 프로젝트 자금은 프로젝트 초반에 한꺼번에 입금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자원 지출 일정에 따라 몇 차례에 걸쳐 분할 투입되기 때문이다.

⑤ 따라서 프로젝트 원가 관리는 프로젝트 범위를 완수하는 데 필요한 자금의 총액과 함께 개별 활동이 수행 일정에 따른 지출 일정도 함께 고려하여 수행해야 한다.

⑥ PMBOK 가이드는 프로젝트 원가 관리 프로세스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원가 관리 계획(7.1): 예산 수립, 요소 원가 추정, 원가 감시 및 통제 방법론을 수립하되 프로젝트의 규모/복잡성 등을 고려하여 상세화 정도를 결정한다.

원가 추정(7.2): 활동 및 자원, 작업 패키지 및 인도물의 원가를 추정하고 활용 가능한 정보가 증가하면 이에 따라 정확성과 정밀성을 높여 나간다.

예산 결정(7.3): 요소 원가를 합산하고 조정하여 전체 프로젝트 예산을 수립하고 불확실성을 대비한 예비분(reserve)을 적절히 포함한다.

원가 통제(7.4): 비용 지출 현황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원가 기준선과 비교하고 중요한 원가 차이에 대처하고 원가 기준선 변경을 통제한다.



2. 관련 개념

(1) 직접비와 간접비

직접비(Direct Cost): 특정 활동이나 인도물을 위해 지출되었음을 명확하게 추적(tracing)할 수 있는 비용 지출이다. 예) 2채의 건물을 건설하면서 투입된 시멘트 원가

간접비(Indirect Cost 또는 Overhead Cost): 여러 활동이나 인도물을 위해 범용적으로 지출된 금액으로서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배분(allocation)한다. 예) 2채의 건물이 공유하는 대지에 대한 조경 비용(각 건물의 연면적으로 배분)



(2) 변동 원가와 고정 원가

① 원가는 작업 공수에 따른 원가의 발생 행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변동 원가(Variable Cost)

• 작업을 착수할 때는 원가가 발생하지 않는다.

• 수행된 작업 공수가 증가할 수록 비용이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 예) 통신 케이블 원가,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 원가


고정 원가(Fixed Cost)

• 작업을 착수하면 무조건 일정 규모의 원가가 발생한다.

• 수행된 작업 공수가 증가하더라도 비용이 고정적이다.

• 예) 프로젝트 사무실 임대료, 보험료


준변동 원가(Semi-variable Cost)

• 고정비와 변동비 성격을 모두 가지는 원가이다.

• 준고정(Semi-fixed) 또는 혼합(mixed) 원가라고도 한다.

• 준변동 원가 중 일례로는 계단 원가(step cost)가 있다.

• 예) 기본 임대료가 있고 사용 기간에 따라 증가하는 임대료


② 공수와 원가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3) 투자 결정 분석과 관련한 원가 개념

관련 원가(Relevant Cost)

관련 원가: 특정 대안을 선택하면 차이가 발생하는 원가 항목들을 통칭한다. 예) 기회 비용, 회피 가능 원가, 증분 원가 등

기회 비용(Opportunity Cost): 여러 대안 중에서 하나의 대안을 선택할 때 포기해야 하는 대안들의 가치 중에서 가장 큰 것을 가리킨다. 예) 계획된 프로젝트 A, B, C의 가치가 각각 100, 90, 80일 때 프로젝트 A를 선택한다면 기회 비용은 90이다.

회피 가능 원가(Avoidable Cost): 특정 대안을 선택하면 발생하지 않는 원가이다.

증분 원가(Incremental Cost): 특정 대안을 선택하면 추가로 발생하는 원가이다.


비관련 원가(Irrelevant Cost)

비관련 원가: 여러 대안 중 어떤 대안을 선택하든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원가 항목들을 통칭한다. 예) 매몰 원가, 필수 부대 원가 등

매몰 원가(Sunk Cost): 과거에 지출하였고 어떤 결정을 하든 향후에 회수할 수 없는 원가 항목이다. 예) 타당성 평가 비용은 프로젝트 수행 여부와 무관하게 회수할 수 없다.

필수 부대 원가(Committed Cost): 유형 자산(건물, 기계, 시설, 장비 등)을 구매/임대하면서 법률/계약상 의무로 인해 향후 장기간 발생하는 필수적인 원가 항목이다. 예) 임대료, 감가상각비, 보험료, 재산세, 유지보수 비용 등

임의 원가(Discretionary Cost): 지출 여부/일정/금액을 어느 정도 조정할 수 있다.



(4) 비용과 편익의 기간 대응

이연 비용(Deferred Expense)

이연 비용: 이미 현금 지출이 있었지만 미래 시점에 비용 처리하는 원가 항목이다.

② 예) 금년 9월 1일에 1년치 임대료 600만 원을 일시에 지급했을 경우 200만 원만(4개월분) 금년 임대료로 처리하고 나머지 400만 원은(8개월분) 내년으로 이연한다.


발생 비용(Accrued Expense)

발생 비용: 아직 현금 지출은 없었지만 앞당겨서 비용 처리하는 원가 항목이다.

② 예) 프로젝트 기간 중에 사용한 통신비와 전기료 100만 원은 향후에 반드시 지불해야 하는 채무에 해당하므로 프로젝트 원가에 포함한다.

※ 발생 비용은 ‘incurred cost’ 또는 ‘inccured expense’라고도 한다.





3. 원가 추정(Cost Estimation)

(1) 의의

원가 추정: 활동이나 투입 자원의 원가를 산정하는 과정으로서 궁극적인 목적은 프로젝트 범위를 완수하는 데 필요한 총 비용을 산정하는 것이다.

② 원가를 너무 낮게 추정하면 프로젝트 예산이 낮게 책정되어 프로젝트 진행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반대로 너무 높게 추정하면 예산 운영이 방만해질 수 있다.

③ 원가 추정에는 언제나 불확실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추정 과정을 통해 정밀성을 높여 나가고 적절한 여유 비용(reserve)을 책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④ 원가의 추정 방법은 활용 가능한 프로젝트 정보에 따라 하향식 추정, 모수적 추정, 상향식 추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추정의 신뢰성 수준은 다음과 같다.


하향식 추정 < 모수적 추정 < 상향식 추정



(2) 추정치의 유형

① 활동의 수행 기간은 활용 가능한 정보의 양에 따라 정밀도 또는 오차의 범위가 달라진다.

② 추정 구간이 넓을 수록 정밀도가 떨어지고, 좁을 수록 정밀도가 높아진다.

③ 추정치의 유형은 추정의 정밀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ROM 추정치

• ROM(Rough Order of Magnitude)은 대략적 수치를 의미한다.

• 활용 가능한 프로젝트 정보가 많지 않은 최초 구상 단계에서 사용한다.

• 정밀도 및 오차의 범위: -25 ~ 75%


예산 추정치

• 프로젝트 초기 예산 기획용(budgetary)으로 산출한 수치이다.

• 프로젝트 계획 수립 단계에서 사용한다.

• 정밀도 및 오차의 범위: -10 ~ 25%


확정 추정치

• 가장 정밀도가 높은 확정적(definitive)인 추정치이다.

• 프로젝트 수행 중에 사용되며 정보가 축적되면 갱신한다.

• 정밀도 및 오차의 범위: -5 ~ 10%


④ 추정치를 이러한 유형으로 분류하는 방식은 활동의 진행 기간은 물론 소요 비용을 추정할 때에도 사용한다.



(3) 원가 추정 시의 고려사항

① 프로젝트 원가는 인건비와 원자재 구입 가격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시장 상황, 조달 업무의 전문성, 구매 협상력 등에 영향을 받는다.

② 이 밖에도 다음과 같은 작업의 물리적/기술적 요인과 더불어 인적/환경적 요인들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③ 물리적 및 기술적 요인: 작업의 난이도, 자원의 생산성, 자원의 가용 일정, 생산성 체감, 기술의 발전 등

④ 인적 및 환경적 요인: 직원들의 숙련성, 동기 부여, 팀 워크 및 성숙도, 경험 및 학습, 파킨슨의 법칙 등 



(4) 학습 곡선 효과 이론

학습 곡선 효과(Learning Curve Effect): 특정 작업을 반복하면서 단위 작업당 평균 기간과 비용이 일정하게 절감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학습 곡선 효과 이론(Learning Curve Effect Theory): 누적 작업량이 2배로 증가할 때마다 단위당 평균 직접비가 일정한 비율로 감소한다는 이론이다.

③ 예를 들어, 풍력 발전기 2대를 조립하는 데 20시간이(평균 10시간) 걸렸고 추가로 6대를(누적 8대) 조립할 경우 학습 곡선 효과를 고려하지 않으면 60시간이 추가로 걸린다.

④ 하지만 학습 곡선 효과를 고려하면 누적 조립 대수가 2배로 증가할 때마다(2대 → 4대 → 8대) 평균 소요 시간이 일정하게 감소한다고 추정한다.

⑤ 만약 학습 곡선 효과로 인해 평균 조립 시간이 90%로 감소한다면 2대를 추가로 만드는 평균 시간은 9시간이고 추가로 4대를 만드는 평균 시간은 8.1시간이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