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P 이론 정리 - 5장] 03 도구 및 기법 - 프로젝트 범위 관리 (2/3)

반응형
반응형

5. 의사소통(Communication)

① 요구사항 수집(5.2)에서 친화도와 같은 의사소통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친화도(Affinity Diagram): 여러 아이디어를 특징이 유사한 것끼리 각각의 그룹으로 분류/정리하는 기법이다.

③ 먼저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통해 아이디어를 수집한 다음 유사한 것끼리 그루핑한 다음 각 그룹에 이름을 부여한다.

④ 그루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카드나 메모장에 기입한 다음 분류하기도 한다




6. 의사결정(Decision Making)

① 복수의 대안들 사이에 상충 관계가 존재하거나 대안 선택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들이 많을 때는 사전에 정의한 방법에 따라 의사결정을 한다.

② 복합 기준 의사결정 분석, 투표, 대안 수립(또는 분석) 등이 널리 사용된다.


(1) 복합 기준 의사결정 분석(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① 여러 아이디어의 우선순위나 중요도를 결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② 예를 들어, 삶의 질, 소요 비용, 안전성, 효율성 등과 같은 다양한 평가 항목들을 기준으로 각각의 요구사항을 평가한다.

점수법(Scoring method): 총점이 높을수록 요구사항의 우선순위도 높아진다.

가중치법(Weight method): 총점을 계산할 때 평가 항목별 가중치를 적용한다.

⑤ 요구사항 수집(5.2) 및 범위 확인(5.5)에서 활용할 수 있다.


(2) 투표(Voting)

① 여러 요구사항 항목들 중 일부를 선택하거나 유사한 항목들끼리 분류하거나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 사용한다.

② 성공적인 교류 방안이 갖추어야 할 각각의 특성을 기준으로 잠재적 교류 방안들을 평가하면서 점수 및 가중치를 적용하여 총점이 가장 높은 대안을 선택한다.

③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장일치(Unanimity)

• 평가자 전원이 동의해야만 선정된다.

• 친목/화합이 중요할 때 사용하지만 합의가 항상 쉽지는 않다.


과반수(Majority)

• 평가자 중 50%가 넘는 사람이 동의해야 선정된다.

• 대안이 2개이고 참석자 수가 홀수일 때 적용하기가 좋다.


다수결(Plurality)

• 평가자 중 가장 많은 사람의 동의를 얻으면 선정된다.

• 대안의 수가 3개 이상일 때 주로 적용한다.


독재(Dictatorship)

• 대표자가 자신의 판단으로 또는 의견을 수렴하여 선택한다.

• 대표자가 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권한을 인정 받아야 한다.


④ 요구사항 수집(5.2) 및 범위 정의(5.3)에서 활용할 수 있다.





(3) 대안 수립(Alternatives Generation)

① 요구사항을 만족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접근법을 최대한 많이 식별하고 그중에서 비용 대비 효과 가장 높은 대안을 결정하는 모든 방법을 통칭한다.

② 대표적으로 수직적 사고 및 수평적 사고 등의 기법이 있다.


수직적 사고(Vertical Thinking)

• 이미 잘 검증된 시각과 관점에서 분석적/순차적으로 문제에 접근한다.

• 관련성이 낮은 자료는 제외하며 타당성이 가장 높은 접근법을 따른다.

•이미 대안이 존재하고 정형적 패턴이 있는 문제 해결에 적합하다.

•기존 대안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새로운 문제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수평적 사고(Lateral Thinking)

• 완전히 새로운 관점과 개념에서 급진적/도발적으로 문제에 접근한다.

• 관련성이 낮은 자료도 환영하며 타당성이 가장 낮은 접근법을 따른다.

• 기존 대안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비정형적 문제 해결에 적합하다.

• 긴 토의 및 시행착오로 인해 시간과 자원이 많이 소요된다.



7. 배경도(Context Diagram)

① IT 분야에서 주로 작성하는 다이어그램으로서 고려 대상 시스템이 최상위 수준에서 다른 외부 개체(조직, 시스템, 외부 저장소 등)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묘사한다.

② 최상위 수준에서 전체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한 데이터 흐름도(DFD: Data Flow Diagram)이기 때문에 배경 수준(context level) DFD 또는 레벨 0 DFD라고도 부른다.

③ 개발 대상 시스템 영역 및 경계를 정의하고 시스템 외부와의 인터페이스를 보여준다.

④ 배경도 완성 후에는 레벨 1, 2, 3 등으로 세부 DFD를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