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P - 6판/5. 범위 관리 크램 2017. 9. 30. 08:30
5. 프로젝트 범위 명세서(Project Scope Statement)(1) 의의① 수집한 요구사항 중에서 최종 인도물에 반영하여 프로젝트 범위에 포함할 경계를 공식적으로 정의하고 범위를 만족하기 위한 방안을 상세하게 설명한 문서이다. ② 이 문서는 이해관계자들 간 프로젝트 범위에 대한 공통적 이해를 공유하고 향후 의사결정의 기초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③ 프로젝트 범위는 프로젝트 범위 명세서를 확정할 때 공식적으로 정의된다. (2) 중요 고려 사항① 요구사항 문서: 프로젝트 범위 명세서를 작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투입물은 요구사항 문서로서 확정된 전체 요구사항을 기준으로 포함사항과 배제사항을 결정하게 된다. ② 프로젝트 헌장: 프로젝트 범위를 신중하게 결정하기 위해서 프로젝트 헌장도 다시 고..
PMP - 6판/5. 범위 관리 크램 2017. 9. 30. 00:12
1. 범위 관리 계획(Scope Management Plan)(1) 의의① 범위 관리 계획은 제품 및 프로젝트 범위의 정의/확인/통제 방법을 설명한다.② 프로젝트 헌장: 범위 관리 계획을 수립할 때 최초로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서 여기에는 상위 수준의 제품 설명 및 경계를 포함한다.③ 프로젝트 수명주기 모델과 전개(development) 접근법: 프로젝트가 채택한 수명주기 모델과 전개 방식은 범위를 정의/확인/통제하는 방식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예견적(predictive) 수명주기 접근법을 채택한 경우 범위 정의, WBS(작업 분할 구조) 생성 , 범위 확인 과정을 순차적으로 일회만 진행된다. 이에 비해 적응적(adaptive) 수명주기 접근법을 채택한 프로젝트라면 이러한 과정이 단계..
PMP - 6판/5. 범위 관리 크램 2017. 9. 29. 00:30
8. 대인 관계 및 팀 스킬(Interpersonal and Team Skills)① 이른바 소프트 스킬(Soft skill)이라고도 불리는 대인 관계 및 팀 스킬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여 통합된 결과를 효과적으로 이끌어 내는 데 기여한다.② 범위 관리의 경우 요구사항 수집(5.2)와 범위 정의(5.3) 과정에서 이해관계자들의 다양한 의견과 기대를 반영할 때 다음과 같은 기법들이 활용될 수 있다. (1) 명목 그룹(Nominal Group)① 참석자들은 각자의 아이디어를 차례로 자유롭게 발표하지만 서로 토론하지는 않는다.② 브레인스토밍의 확장 기법으로서 우선순위를 부여하거나 최종안을 결정할 때 사용된다.③ 발표 내용을 토대로 전체 아이디어 목록을 만들고 비밀 투표를 통해 채택안을 정한다.④ 명목 ..
PMP - 6판/5. 범위 관리 크램 2017. 9. 28. 09:00
5. 의사소통(Communication)① 요구사항 수집(5.2)에서 친화도와 같은 의사소통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② 친화도(Affinity Diagram): 여러 아이디어를 특징이 유사한 것끼리 각각의 그룹으로 분류/정리하는 기법이다.③ 먼저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통해 아이디어를 수집한 다음 유사한 것끼리 그루핑한 다음 각 그룹에 이름을 부여한다.④ 그루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카드나 메모장에 기입한 다음 분류하기도 한다 6. 의사결정(Decision Making)① 복수의 대안들 사이에 상충 관계가 존재하거나 대안 선택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들이 많을 때는 사전에 정의한 방법에 따라 의사결정을 한다.② 복합 기준 의사결정 분석, 투표, 대안 수립(또는 분석) 등이 널리 사용된다. (1) 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