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P - 6판/10. 의사소통 관리 크램 2017. 10. 25. 08:30
1. 의사소통 관리 계획(10.1)(1) 개요① 목적: 프로젝트 의사소통을 위한 적절한 접근법 및 계획을 개발한다. ② 편익: 정보와 관련한 다양한 필요와 요구사항을 식별/분석하고 정보의 수명 주기 전체에 걸친 관리 방법과 절차를 설계한다. (2) 투입물① 프로젝트 헌장: 핵심 이해관계자 목록 및 그들의 역할과 책임에 관한 정보를 참조한다.② 프로젝트 관리 계획: 자원 관리 계획, 이해관계자 관리 계획 등을 참조한다.③ 프로젝트 문서: 요구사항 문서, 이해관계자 기록부 등을 참조한다.④ 기업 환경 요인: 조직 구조 및 특성, 정치적 분위기,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인사 관리 정책, 이해관계자 위험 임계치, 형성된 의사소통 채널/도구/시스템, 국제/권역/지역의 실무 및 관습, 시설 및 자원의 지리적 분포 등..
PMP - 6판/4. 통합 관리 크램 2017. 9. 24. 08:00
8. 교훈점 기록부(Lessons Learned Register)① 프로젝트 관리 업무에는 기존에 습득한 많은 정보와 지혜를 활용하지만, 프로젝트 관리 과정에서도 새로운 지식과 교훈점(lessons learned)을 습득하게 된다.② 이러한 지식과 교훈점은 타 프로젝트 수행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조직의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maturity)를 향상한다.③ 따라서 PM은 조직이 보유한 다양한 프로젝트 정보와 교훈점을 활용하는 것에 더해 가치 있는 지식과 교훈점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정리해야 한다.④ 다만, 이해관계자들의 사유 정보나 기밀 정보를 획득하거나 허락 없이 공개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⑤ PMI는 PM이 프로젝트 중에 획득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동료들, 소속 조직, 업계의 전문가들과 공유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