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 크램 2021. 12. 17. 16:38
요즘 데이터산업에 대한 논의가 정말 핫(hot)합니다. 인공지능(AI), 기계학습(ML)/딥러닝(DL), 빅데이터, 데이터댐, 비식별화/익명화 등 데이터산업 및 요소기술에 대한 자료가 넘쳐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 포스트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산업의 의미와 분류체계에 대해 관련 자료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데이터산업(Data Industry) 데이터의 생산, 수집, 처리, 분석, 유통, 활용 등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제공하는 산업으로 정의한다. 데이터의 생명주기(또는 가치사슬) 상에 나타난 데이터와 관련된 제반 활동을 포함해 데이터로부터 가치가 창출되는 일련의 모든 과정, 이와 연관된 활동을 포함한다. (2020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p.5, 2021년 3월, 과학기술정보통신..
CISA/4. IS 운영, 유지 및 관리 크램 2017. 9. 8. 13:29
1. 메인프레임/배치 환경① 대용량 컴퓨터가 데이터 처리와 통신을 모두 담당하는 환경을 흔히 메인프레임 환경 또는 배치 환경이라고 불린다.②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는 처리할 데이터를 종이 형태의 원시 문서(source document)로 입력 담당 부서에 제출하거나 더미 터미널(dummy terminal, 처리 및 통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을 통해 직접 입력한다.③ 이러한 정보 처리 방식은 입력된 데이터가 소수의 대용량 컴퓨터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앙 처리(central processing) 방식이라고 한다.④ 중앙 처리 방식은 표준이 더 잘 강제되므로 통제의 강도가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보 처리에 소요되는 전체 기간이 길고 중앙의 처리 장비가 멈추면 전체 정보 처리도 중단되는 단점이 있다. ..